차례상 차리는 방법


차례상 차리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설 명절과 추석 그리고 제사 등 차례를 지내면서 차례상 차리는 방법 등을 많이 검색해 보셨을 겁니다. 홍동백서, 조율이시 등 많이 들어본 배치 방식이지만 막상 직접 해보면 잘 생각이 나지 않아 차례상 차리는 방법을 발 검색해 차례상을 차리기 시작합니다. 1년에 두 번의 명절과 집안마다 제사가 있을 때 등 큰 연중 행사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명절에 쓰이는 방법인 만큼 그 차리는 방법은 다들 꼭 지키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명절과 제사에 쓰이는 차례상 차리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각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차례상에서 각 위치별 놓이는 음식에 대한 용어의 풀이대로 알고 있으면 어렵지 않게 차례상을 차릴 수 있습니다. 동, 서 방향의 기준으로 조상님의 신위를 1열로 기준으로 하여 각각 무엇을 차리는지 알 수 있습니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 [紅東白西: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색 과일은 서쪽으로 놓습니다.
  • [棗栗梨枾:조율이시] 좌측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올립니다.
  • [生東熟西:생동숙서] 김치는 동쪽에, 나물은 서쪽에 놓습니다.
  • [左脯右醯:좌포우혜] 포는 좌측에, 식혜, 젓갈류는 오른쪽에 놓습니다.
  • [魚東肉西:어동육서] 생선은 동쪽(앞에서 볼 때 우측)에, 육류는 서쪽에 놓습니다.
  • [頭東尾西:두동미서]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습니다.
  • [乾左濕右:건좌습우]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습니다.
  • [接東盞西:접동잔서] 접시는 동쪽에, 잔은 서쪽에 놓습니다.
  • [右飯左羹:우반좌갱] 메(제삿밥)는 오른쪽에, 국은 왼쪽에 놓습니다.
  • [男左女右:남좌여우]  제상의 왼쪽은 남자, 오른쪽은 여자에 위치해서 차례를 지냅니다.

차례상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며 지역의 특산물 등을 올려놓는 차례상도 있는 만큼 자신의 지역과 대대로 차례상을 어떻게 하였는지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위의 순서는 일반적인 조율이시 등의 원칙에 따라 차례상을 차리는 순서입니다.

 제사상, 차례상 차릴 때 주의 사항

제사 또는 차례상을 차릴 때 주의해야 하는 점도 있습니다.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이나 음식, 물건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과실 중에 복숭아(털이 있는 과일)는 올리지 않습니다. 복숭아가 귀신을 물리치는 힘이 있다고 합니다.
  • ~치 로 끝나는 생선은 올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갈치, 삼치, 꽁치 등 흔하다고 생각하여 성의가 없다고 여겨졌다고 합니다.
  • 향신료는 쓰지 않는다고 합니다. 고춧가루나 마늘은 귀신을 쫓는 음식이라 하여 사용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 음식의 개수를 홀수로 합니다. 예로부터 홀수가 양을 의미하여 길하다고 믿었기 때문에 개수는 홀수로 한다고 합니다.
  • 제사를 지낼 때는 붉은 팥 시루떡을 쓰지만 차례상에서는 흰 고물의 떡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달라지는 명절 차례, 제사상 차림

명절이나 제사 때 차례상을 차리는 일은 손이 많이 가고 힘든 일입니다. 주로 어머님, 여성분들이 주로 한다고 여겨져 명절 증후군이라는 용어까지 생길 정도로 사회적 이슈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시대가 바뀌어 가면서 제사를 안 지내는 가정도 많아지고 오히려 해외여행 등을 가는 사람도 많다고 합니다. 여기서 얼마 전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에서 차례상 표준안을 발표하기도 하였습니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

이는 차례상을 차리는 경제적 부담과 형평성 문제 등 논란의 여지가 있는 부분 등을 감안하여 인식조사 등을 통해 표준안 진설도를 통해 유학 경전에서의 간략화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런 부담 없는 상차림을 통해 적지만 정성을 들여 조상님의 넋을 기리고 가정의 평화를 위한다는 내용은 요즘 시대에 많은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시대가 변하는 만큼 제사. 차례의 방법도 변하는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주의사항까지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민족 고유의 명절과 각 가정에 중요한 제사에 쓰이는 방법인 만큼 그 의미와 정성을 기울여 뜻깊은 차례, 제사상을 차리고 조상님을 기리는 자리가 되기를 바랍니다.

Leave a Comment